맨위로가기

바딤 바카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딤 바카틴은 1937년 키셀레프스크에서 태어나 소련의 정치인이자 정보기관 간부였다. 그는 노보시비르스크 토목 공학 연구소와 사회과학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건설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 1988년 미하일 고르바초프에 의해 소련 내무 장관에 임명되었으며, 1990년에는 대통령 평의회 멤버가 되었다. 1991년에는 국가보안위원회(KGB)의 마지막 의장을 역임하며 KGB를 해체했다. 그는 1991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이후 독립 국가 공동체(CIS)의 공화국간 보안청 초대 의장을 지냈다. 바카틴은 2022년 7월 31일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메로보주 출신 - 알렉산드르 골로빈
    알렉산드르 골로빈은 러시아의 축구 선수로, 중앙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PFC CSKA 모스크바에서 프로 데뷔 후 AS 모나코로 이적, 러시아 국가대표팀 주축 선수로 활동하며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우승과 UEFA U-17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을 경험했고, 뛰어난 패스 능력과 중거리 슈팅 능력을 갖춘 선수로 평가받는다.
  • 케메로보주 출신 - 이반 야리긴
    이반 야리긴은 소련의 자유형 레슬링 선수이자 코치로서 올림픽 2연패,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소련 및 러시아 레슬링 발전에 크게 기여하여 그의 업적을 기리는 토너먼트 개최 및 기념 시설 건립으로 이어졌다.
  • 국가보안위원회 - 블라디미르 푸틴
    블라디미르 푸틴은 1952년 출생하여 KGB에서 근무하고 정치 경력을 시작, 1999년 러시아 총리, 대통령 권한대행을 거쳐 2000년 러시아 대통령에 당선된 후 장기 집권하며 경제 개혁과 강한 러시아 건설을 목표로 했지만, 우크라이나 관련 국제적 비판을 받았다.
  • 국가보안위원회 - 유리 안드로포프
    유리 안드로포프는 소련의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KGB 의장을 거쳐 소련 공산당 서기장으로서 소련을 이끌었으며, 경제 개혁과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했지만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등으로 비난을 받았다.
  • 러시아의 공학자 - 안드레이 투폴레프
    안드레이 투폴레프는 1888년에 태어나 1972년에 사망한 소련의 항공기 설계자이며, 전금속 항공기 설계를 개척하고 TB-1, TB-3, ANT-20, Tu-4, Tu-95, Tu-16, Tu-104 등 다양한 항공기를 설계했다.
  • 러시아의 공학자 - 미하일 얀겔
    미하일 얀겔은 소련의 로켓 과학자이자 설계자로, 대륙간 탄도 미사일 개발에 기여했으며, 로켓 추진 센터 설립, 고성능 추진제 개발, R-12, R-16, R-36 등의 ICBM 설계 등의 업적을 남겨 그의 이름이 여러 곳에 기념되고 있다.
바딤 바카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88년 바카틴
1988년 바카틴
국적소비에트 연방 (1937–1991)
러시아 (1991–2022)
직책
소비에트 연방 내무부 장관term_start3: 1988년 10월 20일
term_end3: 1990년 12월 1일
premier3: 니콜라이 리쥐코프
predecessor3: 알렉산드르 블라소프
successor3: 보리스 푸고
KGB 의장term_start2: 1991년 8월 29일
term_end2: 1991년 12월 3일
premier2: 이반 실라예프
predecessor2: 블라디미르 크류치코프
successor2: 직책 폐지
소련 공화국 간 보안 서비스 지도자term_start: 1991년 11월 6일
term_end: 1992년 1월 15일
premier: 이반 실라예프
predecessor: 직책 신설
successor: 직책 폐지
개인 정보
출생일1937년 11월 6일
출생지소비에트 연방, 케메로보 주, 키셀료프스크
사망일2022년 7월 31일
사망지러시아, 모스크바
정당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1964–1991)
기타 정보
ISBN0-374-52738-5

2. 초기 생애 및 교육

바딤 바카틴은 1937년 케메로보주 키셀레프스크에서 태어났다. 그는 노보시비르스크 토목 공학 연구소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산하 사회과학 아카데미를 졸업했다.

1960년부터 건설 기업에 근무하며 수석 기술자, 감독 등을 역임했다. 이 기간 중 1964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다. 1971년에는 주택 건설 기업 합작 회사의 수석 기술자가 되었다. 1973년 케메로보시 공산당 제2서기로 선출되면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3. 경력

바딤 바카틴은 1960년부터 건설 분야에서 경력을 시작하여 감독, 수석 엔지니어 등을 역임했다. 1964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한 이후, 1973년부터 당 간부로서 활동하며 케메로보주와 키로프주 등에서 주요 직책을 맡았고, 1986년에는 당 중앙 위원이 되었다.

1988년 미하일 고르바초프에 의해 내무 장관으로 발탁되어 개혁 노선을 추진했으나, 보수파와의 갈등 속에서 1990년 사임했다.[8] 1991년 러시아 대선에 출마했으나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다.

1991년 8월 쿠데타 실패 후, 마지막 KGB 의장으로 임명되어 조직 해체를 주도하는 개혁적인 역할을 수행했다.[6] 이 과정에서 모스크바 주재 미국 대사관 도청 관련 정보를 미국 측에 제공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10]

소련의 붕괴 이후에는 신설된 공화국 간 안보 기구 의장(1991-1992)을 잠시 역임했으며, 이후 국제 기구 및 투자 회사에서 활동했다. 1992년에는 국제 "Reforma" 기금의 부회장 겸 정치 및 국제 관계 부서 이사로 임명되었고, 1997년부터는 투자 회사 베어링 복스토크의 이사 및 고문으로 재직했다. 2022년 7월 31일, 향년 84세로 사망했다.

3. 1. 소련 시절

케메로보주 키셀롭스크 출신으로, 노보시비르스크 건축 기술 대학을 졸업했다. 1960년부터 건설 현장에서 일하며 감독, 수석 기술자, 건설 사업 이사 등을 역임했다. 1964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하여 1991년까지 당원으로 활동했다. 1971년에는 주택 건설 기업 합작 회사의 수석 기술자가 되었다.

1973년 케메로보시 공산당 제2서기로 선출되면서 본격적인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1977년 케메로보주 당 서기, 1985년 공산당 중앙 감사 위원 및 키로프주 당 제1서기를 거쳤으며, 1986년에는 당 중앙 위원으로 선출되어 1990년까지 활동했다. 1987년에는 다시 케메로보주 당 제1서기가 되었다.

1988년, 미하일 고르바초프에 의해 알렉산드르 블라소프의 후임으로 내무 장관에 임명되었다.[8] 그는 온건 개혁파로서 고르바초프의 노선을 따라 당시 격화되던 소련 내 민족 문제에 대처하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소련 체제 유지를 위해 강경 노선을 주장하던 보수파의 압력에 시달렸고, 결국 고르바초프가 보수파에 양보하면서 1990년 내무 장관직에서 물러났다. 그의 후임으로는 보수파로 알려진 보리스 푸고가 임명되었고, 제1차관에는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영웅이자 역시 보수파인 보리스 그로모프 장군이 임명되었다. 같은 해 8월, 신설된 대통령 평의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90년 소련 대통령 선거에서는 공산당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으나, 경선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9] 1991년 러시아 대선에서는 보리스 옐친의 당선을 견제하려는 고르바초프의 지시로 출마했지만, 옐친과 니콜라이 리시코프 전 총리에게 크게 뒤처졌고, 심지어 당시 군소 후보였던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에게도 밀려 5명의 후보 중 5%의 득표율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1991년 8월 소련 8월 쿠데타가 실패로 돌아가자, 쿠데타를 주도했던 블라디미르 크류치코프의 뒤를 이어 마지막 KGB 의장에 임명되었다. 그는 쿠데타 이후에도 고르바초프를 계속 지지했으며, KGB 의장으로서 조직 해체를 주도했다. 특히 비밀 정보원 운영, 정치 파일 관리, 반체제 인사 색출 등을 담당했던 KGB 내 주요 부서(제4국, 제5국 등)를 해체하는 과감한 조치를 단행했다.[6] KGB 해체 후에는 소련의 공화국 간 안보 기구 수장을 맡았다.

같은 해, KGB 의장으로서 미국 대사 로버트 슈바르츠 스트라우스에게 모스크바 주재 미국 대사관 건물에 설치되었던 은밀한 도청 장치의 설치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스트라우스 대사는 이 정보 공개가 "아무 조건 없이" 협력과 선의의 차원에서 이루어졌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이 행동은 국내에서 반역 혐의를 포함한 거센 비판을 받았으나,[10] 혐의는 결국 철회되었다.

3. 2. 소련 붕괴 이후

1991년 국가보안위원회(KGB)의 수장이 되었다. 그는 KGB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비밀 정보원을 관리하고 반체제 인사를 색출하던 주요 부서들을 폐지했다.[6] KGB 해체 이후에는 소련의 붕괴 과정에서 새롭게 설치된 Межреспубликанская служба безопасности СССР|몌시례스푸블리칸스카야 슬루시바 베조파스노스티 SSSRrus (공화국 간 안보 기구)의 초대 의장을 1991년부터 1992년까지 역임했다. 이 기구는 독립 국가 연합(CIS) 체제 하에서 운영되었다.

1991년, KGB 수장으로서 바카틴은 모스크바 주재 미국 대사 로버트 슈바르츠 스트라우스에게 미국 대사관 건물에 설치된 은밀한 도청 장치의 기술 정보를 공개했다. 스트라우스 대사는 이 정보 공개가 "아무 조건 없이" 협력과 선의의 차원에서 이루어졌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바카틴의 이러한 행동은 국내에서 반역 혐의를 포함한 거센 비판을 받기도 했으나,[10] 혐의는 결국 철회되었다.

1992년에는 정치 및 국제 관계를 다루는 국제 "Reforma" 기금의 부회장 겸 이사로 임명되었다. 1997년부터는 투자 회사인 베어링 복스토크 (모스크바)의 이사 및 고문으로 활동했다.

2022년 7월 31일, 향년 84세로 사망했다.

4. 1991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91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러시아의 대통령1대무소속3.42%2,719,757표6위낙선



바카틴은 1991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 무소속 후보로 출마했다. 당시 그의 러닝메이트는 라마잔 압둘라티포프였다. 미하일 고르바초프보리스 옐친의 당선을 견제하기 위해 바카틴에게 출마를 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바카틴은 옐친, 니콜라이 리시코프 전 총리,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 등 다른 후보들에게 크게 뒤처져 2,719,757표(3.42%)를 얻는 데 그쳤고, 6명의 후보 중 최하위를 기록하며 낙선했다.

5. 개인사

바딤 바카틴의 손자(1998년 6월 24일 출생)는 국제 축구 선수였으며 AS 모나코 FC 유소년 팀에서 뛰었다.[11][12][13]

바카틴은 2022년 7월 31일 러시아 모스크바의 한 병원에서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4][15]

6. 어록

체키즘의 전통은 근절되어야 하며, 이념으로서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16]

7. 저서


  • 『마지막 KGB 의장』(사토 토시로 역, 고단샤, 1992년 2월)

8.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91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러시아의 대통령1대무소속3.42%2,719,757표6위낙선



바카틴은 1991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 무소속 후보로 출마하였다. 그의 러닝메이트는 라마잔 압둘라티포프였다. 그는 총 6명의 후보 중 2,719,757표(득표율 3.42%)를 얻어 최하위인 6위를 기록하며 낙선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от 29 августа 1991 г. N 2370-I «О членах Кабинета Министров СССР»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СССР от 06.11.1991 N УП-2818 http://www.libussr.r[...]
[3] 웹사이트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т 15 января 1992 г. № 22 «Об освобождении от должностей руководителей министерств и ведомств» http://kremlin.ru/ac[...]
[4] 서적 The State Within a State: The KGB and Its Hold on Russia—Past, Present, and Future 1994
[5] 서적 Russia: Death and Resurrection of the KGB
[6] 서적 Ibid
[7] 간행물 Soviet Union: Political Affairs http://apps.dtic.mil[...] 2013-03-30
[8] 웹사이트 MVD.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Systema Spetsnaz http://www.systemasp[...] 2016-04-27
[9] 뉴스 Первый и последний: как Горбачев стал президентом СССР https://www.bbc.com/[...] BBC Russian 2015-03-11
[10] 서적 KGB: Death and Rebirth Praeger Publishers 1994
[11] 웹사이트 Vadim BAKATIN | U19 | AS Monaco FC https://web.archive.[...] 2022-01-13
[12] 웹사이트 Подписать контракт с профессиональным клубом и говорить семье, что я футболист, всегда было моей мечтой». Как внук последнего председателя КГБ СССР делает карьеру в "Монако" - Еженедельник "Футбол" https://web.archive.[...] 2022-01-13
[13] 웹사이트 Наш человек в "Монако". Как Вадим Бакатин пробивает себе дорогу в большой футбол https://life.ru/p/88[...] 2016-07-25
[14] 뉴스 В Москве умер последний председатель КГБ СССР Вадим Бакатин https://rg.ru/2022/0[...]
[15] 뉴스 Vadim Bakatin, last head of Soviet KGB, dies at 84 2022-08-01
[16] 서적 Secret Empire: The KGB in Russia Today Westview Press. Boulder, CO. 1994
[17] 웹사이트 В Москве умер последний председатель КГБ СССР Вадим Бакатин https://rg.ru/2022/0[...] 2022-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